두꺼비 (2013년 3월 16일) (2013년 3월 16일) (2014년 5월 6일) 사진 속의 수컷 두꺼비는 콧구멍을 벌렁벌렁 거리면서 암컷을 찾고 있었다. 산개구리보다는 조금 더 늦은 3월 중순에서 4월까지 암컷을 찾아다닌다. 그래서 암컷을 찾아다니는 두꺼비 근처에서 산개구리도 많이 볼 수 있고 두꺼비알과 산개.. 생태보고서 2015.01.03
고마리 (2012년 9월 23일) 고마리 꽃은 봄이 아닌 가을이 시작하면서 개울이나 숲에서 자주 보인다. 즉 고마리 꽃이 핀다는 것은 가을을 알리는 신호 중의 하나이다. 봄에는 어린 고마리가 개울가에서 조그맣게 자란다. 고마리 꽃을 보면 가끔 미꾸리낚시나 며느리밑씻개와 꽃모양이 비슷하여 헷갈.. 생태보고서 2015.01.03
곤줄박이 (2012년 12월 26일) (2012년 2월 28일) 곤줄박이는 겨울이 되면 낮은 지대인 인가 근처로 먹이를 찾으러 내려온다.도토리교실에서 설치한 새먹이통에서 먹이를 먹는다. 새먹이통은 종이컵이나 우유 곽에 마가린을 녹인 것과 견과류들을 섞어 굳혀서 만든 것이다. 참새, 박새, 딱새와 달리 곤줄.. 생태보고서 2015.01.03
산개구리 (2012년 3월 10일) (2012년 3월 18일) (2012년 4월 9일) (2012년 5월 19일) 입춘이 지난 겨울이나 초봄에 얼음이 녹을 무렵 산개구리들이 가장 먼저 깨어나 번식을 한다. 여름이면 논에 갔을 때 청개구리나 참개구리는 잘 알 것 같은데 저 갈색개구리는 뭐나? 라는 생각이 자주 들었었다. 노샛골 개울.. 생태보고서 2015.01.03
옆새우 (2013년 2월 21일) 개울에서 가재들을 찾다가 옆새우를 자주 마주친다. 가끔은 바위나 낙엽 밑에서 수많은 옆새우들이 쏟아져 나오기도 한다. 옆새우들은 개울에 흔하게 분포하는데 옆으로 헤엄친다고 해서 옆새우라는 이름이 붙게 된 것이다. 물속에서 헤엄치는 작은 벌레들처럼 느껴질 .. 생태보고서 2015.01.03
쇠딱따구리 딱새나 박새 사진을 찍거나 관찰하고 있을 때 멀리서 딱따구리가 쪼는 소리가 들린다. 그 소리의 진원지는 주로 쇠딱따구리이다. 쇠딱따구리는 딱따구리 중에서 가장 작다. 크기는 딱새, 박새들과 비슷하다. 나무에 구멍을 뚫어 둥지를 짓거나 나무껍질에 숨어있는 벌레들을 잡아먹는다... 생태보고서 2015.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