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새집에 관한 연구 (2016년) 여기는 작업 도중 오류로 사진이 짤렸네요 ㅠㅠ 그래도 뒤에 보충되어있는 자료 사진들을 통해서 더 크게 확인할수 있습니다! 생태보고서 2017.02.01
문집 표지 및 목차 제가 고등학교 1학년때 키웠던 병아리와 닭 사진을 이용하여 앞표지를 만들어보았습니다. 다음은 목차입니다. 고등학교 2학년, 동아리 시간에 토끼 해부실험을 하였습니다. 이 사진을 이용해 뒷표지를 만들어보았습니다. 생태보고서 2017.02.01
그린기자단 10월호 기사 http://www.ecomedia.co.kr/news/newsview.php?ncode=1065575688360755 제목은 우리의 추억, 가재 입니다. 이렇게 올해 그린기자단 활동이 끝나게 되었습니다. 생태보고서 2016.11.27
그린기자단 7월호 기사 반딧불이(그린기자단)_.hwp http://www.ecomedia.co.kr/news/newsview.php?ncode=1065595289868877 생태보고서 2016.07.23
그린기자단 5월호 기사 http://ecomedia.co.kr/mailing/m1606.html http://www.ecomedia.co.kr/news/newsview.php?ncode=1065602137491827 5월호에 우수기자로 당첨되어 실린 저의 기사입니다. 주제는 인공새집의 새였습니다. 생태보고서 2016.07.21
달맞이꽃 낮에는 활짝 피지 않고 시들시들한 달맞이꽃 (2012년 7월 21일) 달맞이꽃은 신기하게도 밤에만 핀다. 밤에만 피기 때문에 볼 기회가 없어서 옛날에나 볼 수 있었던 귀한 꽃인 줄로만 알았다. 오룡골에서 밤에 반딧불이를 관찰할 때 처음으로 활짝 핀 달맞이꽃을 선생님의 도움으로 보게 되.. 생태보고서 2015.01.04
멋쟁이 (2013년 2월 21일) 2013년에 멋쟁이를 처음 보았다. 그 전에는 나는 이 새를 한 번도 본 적도 들어본 적도 없었다. 다른 멋있는 새들도 많은데 왜 이 새를 멋쟁이라 부르는지 잘 모르겠다. 오히려 귀엽게 생겼다. 길을 지나가는데 이 새의 무리가 지나가고 있었다. 그런데 느낌이 다른 새들과 .. 생태보고서 2015.01.03
반딧불이 (2014년 6월 12일) 사진 속 반딧불이 끝 부분을 보면 무언가 튀어나와있다. 그 부분에서 빛이 나온다. 칠보산에는 늦반딧불이보다는 6월 말부터 7월 초까지 날아다니는 애반딧불이가 많다. 애반딧불이는 반딧불이 중에서 가장 작은 종이다. 밤에 빛을 내며 날아다니는 반딧불이는 아름답다. .. 생태보고서 2015.01.03